보컬이 녹음할 때 호흡 때문에 발생하는 소리를 브레스라고 합니다 노래를 할 때는 숨을 무조건 쉬게 되는데 뛰어난 보컬리스트일수록 가사와 브레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녹음에 경험이 많은 가수일수록 듣기 좋은 포인트에서 호흡을 하며 녹음되는 브레스 소리마저 듣기 좋습니다 실제로 잘하는 보컬과 못하는 보컬이 녹음을 할 때 가장 많이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점은 보컬 레벨 컨트롤과 브레스입니다 잘하는 보컬의 숨소리는 듣기 좋으며 안정된 위치에서 호흡을 하고 경험이 부족한 보컬은 "흐어억"이라는 브레스를 자주 내며 녹음 경험이 없어 긴장을 많이해 안정적인 위치에서 호흡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감정이 고조되는 부분이나 분위기가 바뀌는 부분, 후렴이 시작되기 전처럼 브레스도 표현의 일부라고 할 정도로 노래에서 유..
보컬의 어택 부분을 강조하기 위한 컴프레서 설정을 하면 어택 부분의 음량 차이가 거슬릴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어택 부분이 길게 설정되어 있어서 어택 부분은 컴프레서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해결할 대책으로 어택 부분의 볼륨을 조정해서 다른 부분과 일정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페인더를 그린다고 말하는데 하지만 리드미컬한 곡에서는 볼륨을 수정하는 작업도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보다 간단한 방법은 어택 부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또 하나의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프레서를 2단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하드웨어로 작업하던 시대에는 2대의 컴프레서를 사용하기 위해서 케이블 연결부터 번거로운 작업들을 해야만 했지만 DAW는 2개의 플러그인을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컴프레서는 단순히 레벨을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이펙터라고 생각했다면 아직 이펙터에 대한 이해가 별로 없거나 사운드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다는 것이므로 많이 공부를 해야 합니다 컴프레서는 레벨만 조정하는 것이 아닌 사실 이큐의 역할도 합니다 다른 뜻으로 보면 컴프레서는 ADSR를 조정하여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도 하면 컴프의 회로를 통해 소스의 캐릭터만 추가하는 역할도 합니다 또한 스피커 상에서 들리는 악기나 보컬의 위치에 따라서도 이펙터 사용의 의도가 다 달라집니다 이번에는 어택 감을 강조해서 리듬이 살아나게 하는 효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믹스를 하면서 반주 악기들을 조정하다가 보컬이 들리지 않아서 악기의 레벨을 점점 내리게 되는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리듬이 센 락과 팝, 댄스음악은 아무래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컴프레서
- 사랑니발치후출혈
- 믹싱
- 유기농마카
- 엔지니어
- 주파수
- 코러스
- 사랑니발치후운동
- 녹음
- 사랑니발치후커피
- 사랑니발치후양치
- 보컬녹음
- 블랙마카가격
- 코러스레코딩
- 보컬이펙팅
- 치찰음
- 보컬
- 고관절스트레칭
- 고관절통증치료법
- 레코딩
- 마이크
- 디에서
- 보컬이큐
- 고관절염증
- 이퀄라이저
- 보컬레코딩
- 녹음방법
- 이큐
- 사랑니발치후회복기간
- 사랑니발치후식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