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큐와 컴프레서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조합해서 사용하게 되면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보컬 컴프 레싱은 많은 이펙터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컴프만 사용할 것인지 이큐만 사용할 것인지 고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실제로 작업한 DAW의 보컬들을 보면 인서트. 창에 꽉차듯 보컬 이펙터가 들어가 있습니다 거기 대부분은 컴프와 이큐가 함께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거의 95%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큐와 컴프레서를 같이 쓰는 이유는 무엇이냐면 이큐의 경우에는 보컬 녹음에서 꼭 필요한 것입니다 완전히 깔끔하게 녹음을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저음이나 고음에서 무조건 주파수를 편집해야만 합니다 그 후에는 MR에 기본적으로 보컬을 묻게 하기 위해서 혹은 위치를 조정하기 위..

남성 보컬의 음색은 믹스할 때 많은 이펙터를 사용하더라도 반주와 잘 섞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반주에 묻히기 쉬운 저음역부터 중저음 역은 프로슈 서, 엔지니어 들 모두 갖아 힘들어하는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음량에 따라서 음색이 크게 변하는 것 떄문에 특히 더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메조포르테부터 포르티시모까지는 어느 정도 성량이 크기 때문에 처리가 비교적 쉽지 않습니다 한편 메조피아노부터 피아노까지는 목소리의 배음성분이 적고 음정이 낮아질수록 가슴에서 울리는 저음역이 강조됩니다 게다가 약하게 부를 때는 마이크에 가까이 다가가는 경우가 많아서 근접효과가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서 프레이즈에 따라서는 정ㅁ역이 과장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EQ로 저음역을 커트해되 되지만 저음역이 많이 않은 다른..

많은 초보자분들이 컴프레서를 매우 잘못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다수는 남들도 다 쓰니까 라는 목적이 가장크며 2번째로는 음량을 압축하고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우선 남들도 쓰니까 써야지 라는 목적은 굉장히 잘못된 부분입니다 컴프레서는 이퀄라이저 이상으로 소스의 음색을 바꾸는 이퀄라이저 역할을 하기도 하는 이펙터입니다 하지만 이퀄라이저보다 프로세싱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고 좋은 소스마저 망치게 하는것이 컴프레서입니다 때문에 남들이 쓴다고 쓰기보다는 정확한 목적을 가지고 써야하지 않으면 소스가 산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2번째로 음량을 압축해 레벨을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도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이곳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소스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컴프레서의 용도가 한..

보컬이 녹음을 할 때 ㅅ이나 ㅊ 발음을 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를 치찰음이라고 합니다 치찰음은 리버브와 딜레이를 거치면 더욱 거슬리게 됩니다 하지만 치찰음도 자음을 구성하는 일부분이므로 귀에 거슬린다고 완전히 제거해버리면 가사를 알아 들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그냥 놔두면 듣기 불편한 음악이 되기도 합니다 디에서는 치찰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개발된 이펙터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귀에 거슬리기 바로 직전까지의 치찰음을 살려두는 팝송도 많으며 아이돌 음악의 경우에도 치찰음이 다른 장르의 음악보다 많이 살아있습니다 장르에 따라 치찰음을 얼마나 잡을지 혹은 곡의 분위기나 보컬 가사 등에 따라서도 치찰음을 얼마나 잡을지의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프로듀서와 작곡가, 보컬리스트와 상의를 해야하는 부..

보컬이 녹음할 때 호흡 때문에 발생하는 소리를 브레스라고 합니다 노래를 할 때는 숨을 무조건 쉬게 되는데 뛰어난 보컬리스트일수록 가사와 브레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녹음에 경험이 많은 가수일수록 듣기 좋은 포인트에서 호흡을 하며 녹음되는 브레스 소리마저 듣기 좋습니다 실제로 잘하는 보컬과 못하는 보컬이 녹음을 할 때 가장 많이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점은 보컬 레벨 컨트롤과 브레스입니다 잘하는 보컬의 숨소리는 듣기 좋으며 안정된 위치에서 호흡을 하고 경험이 부족한 보컬은 "흐어억"이라는 브레스를 자주 내며 녹음 경험이 없어 긴장을 많이해 안정적인 위치에서 호흡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감정이 고조되는 부분이나 분위기가 바뀌는 부분, 후렴이 시작되기 전처럼 브레스도 표현의 일부라고 할 정도로 노래에서 유..

보컬의 어택 부분을 강조하기 위한 컴프레서 설정을 하면 어택 부분의 음량 차이가 거슬릴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어택 부분이 길게 설정되어 있어서 어택 부분은 컴프레서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해결할 대책으로 어택 부분의 볼륨을 조정해서 다른 부분과 일정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페인더를 그린다고 말하는데 하지만 리드미컬한 곡에서는 볼륨을 수정하는 작업도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보다 간단한 방법은 어택 부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또 하나의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프레서를 2단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하드웨어로 작업하던 시대에는 2대의 컴프레서를 사용하기 위해서 케이블 연결부터 번거로운 작업들을 해야만 했지만 DAW는 2개의 플러그인을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컴프레서는 단순히 레벨을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만 사용하는 이펙터라고 생각했다면 아직 이펙터에 대한 이해가 별로 없거나 사운드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다는 것이므로 많이 공부를 해야 합니다 컴프레서는 레벨만 조정하는 것이 아닌 사실 이큐의 역할도 합니다 다른 뜻으로 보면 컴프레서는 ADSR를 조정하여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도 하면 컴프의 회로를 통해 소스의 캐릭터만 추가하는 역할도 합니다 또한 스피커 상에서 들리는 악기나 보컬의 위치에 따라서도 이펙터 사용의 의도가 다 달라집니다 이번에는 어택 감을 강조해서 리듬이 살아나게 하는 효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믹스를 하면서 반주 악기들을 조정하다가 보컬이 들리지 않아서 악기의 레벨을 점점 내리게 되는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리듬이 센 락과 팝, 댄스음악은 아무래도 ..

보컬의 이펙터 처리에서 이퀄라이저 만큼 자주 사용되는 것이 바로 컴프레서입니다 이퀄라이저만큼이나 중요한 이펙터이며 없어서는 안될 이펙터 중 하나입니다 컴프레션은 음량을 압축해서 듣기 편한 사운드를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하지만 이펙트가 걸리는 정도를 알기 어렵기 떄문에 다른 초보분들은 다들 사용하니까 일단 걸어봐야지 라는 생각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퀄라이저의 경우에는 접근이 쉽고 귀로 바로바로 쉽게 들리기 때문에 초보자분들도 어느정도의 계획을 가지고 접근이 가능하지만 컴프레서의 경우에는 귀를 통해 많은 훈련이 있지 않으면 듣기가 힘들고 소스에 대한 이해와 제대로된 접근방법을 모르면 오히려 독이 되는 이펙터입니다 기본적인 파라매터는 트레숄드와 레시오, 어택 타임, 릴리즈 타임이 있습니다 트레..

아직까지 빈티지 이큐가 사랑받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70~80년대에 개발 생산된 빈티지의 이큐나 컴프레서 같은 경우에는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현대 아이돌 팝, 외국 팝 등 모든 곡에 사용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로 얘기를 해보면 콘솔 얘기를 해야 하는데 70~80년대는 콘솔이나 아웃보드를 통해서만 소스의 이펙터를 걸었습니다 그 음악의 색깔과 냄새 등 뮤지컬적인 부분 등이 너무 좋아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그 질감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매력적인 빈티지 EQ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불필요한 부분을 커트하는 역할은 DAW 번들 플러그인 EQ로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보컬의 개성이나 질감을 끌어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 엔지니어들은 녹음 단계에서 아웃보드 이퀄라이저를 사용하거나..

이큐를 통해 라디오 소리를 흉내 내 볼 수 있습니다 이퀄라이저를 통해 라디오 보이스와 올드 마이크 사운드를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테크닉 중 하나입니다 이미 존재하는 사운드를 다른 수단으로 재현하는 것을 시뮬레이션이라고 합니다 현대적인 테크닉으로 빈티지한 사운드를 충분히 재현할 수 있습니다 라디오 보이스는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중간에 임팩트를 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곡 전체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임팩트가 필요한 섹션의 보컬을 라디오 보이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멜로디어스 한 보컬뿐만이 아니라 랩 파트에도 굉장히 효과적입니다 특히나 가요보다는 힙합 장르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작은 라디오의 소리를 만들기 위한 이큐 설정은 우선 하이패스 필터로 1000Hz보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랑니발치후양치
- 사랑니발치후커피
- 블랙마카가격
- 보컬녹음
- 레코딩
- 코러스
- 보컬
- 주파수
- 보컬레코딩
- 유기농마카
- 고관절스트레칭
- 사랑니발치후식사
- 고관절통증치료법
- 사랑니발치후회복기간
- 마이크
- 엔지니어
- 디에서
- 사랑니발치후출혈
- 녹음
- 사랑니발치후운동
- 이큐
- 컴프레서
- 치찰음
- 이퀄라이저
- 보컬이큐
- 코러스레코딩
- 믹싱
- 녹음방법
- 보컬이펙팅
- 고관절염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